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0-11-20 |
---|---|---|---|
첨부파일 | 조회수 | 1,486 | |
포스트코로나시대 도시재생과 도시회복 지난해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5,185만으로 현재 수도권이라 불리는 서울과 경기의 인구수는 전체인구의 50%에 달하는 2,500만 명이라고 합니다. 산업화와 더불어 자본주의 경제체제 안에서 사람들이 대도시로 향하는 이유는 하나였습니다. 직장, 교육, 의료, 쇼핑, 문화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모든 기능들이 대도시에 몰려있기 때문입니다. 집적의 경제가 가져다주는 이윤창출과 문화향유가 모두 가능했으니까요.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는 이러한 '고밀'과 '집적'의 환경이 감염병 확산에 더없이 취약한 구조라는 것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올 여름 서울연구원은 '포스트코로나 시대 서울의 정책' 토론회에서 "코로나19 사태는 도시가 주는 고밀과 집적이라는 장점을 포기하고 저밀도 전원도시로 갈 것이냐는 고민을 던져주고 있다." 라고까지 전했습니다. 현재 원주시의 인구는 35만입니다. 감염병 발생 시 이동을 최소화하고도 도보생활권에서 일상생활의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자족도시 적정 도시규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수년간의 노력으로 도심 내·외부에 수많은 공원과 걷기 길을 만들어 생활권 녹지체계도 구축되고 있습니다. 또한 보건 의료시스템도 도내에서 유일하게 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수준에 위치한 것으로 보입니다. 정리하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공간규모와 녹지체계 그리고 공공보건 의료시설까지 갖추고 있어 회복탄력적인 도시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지요. 도시공간에서 회복탄력성이란 회복력을 뜻하는 리질리언스(resilience), 즉 어려움으로부터 회복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위기를 지방도시의 잠재력을 통해 지방자치와 지역경제 회복의 기회로 삼는 슬기로운 판단과 최선의 선택이 필요한 때가 지금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제는 중부내륙 성장거점 도시로서 도약만을 위한 개발위주의 도시정책이 아니라, 우리도시 내부를 살피고 자족도시이자 시민도시로의 기능을 유지하며 도시재난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적 도시회복의 재생정책이 요구되는 시점이기 때문입니다. 학성, 중앙, 봉산의 도시재생뉴딜사업지구를 비롯해 우산, 태장, 일산 등 많은 동네에서 마을재생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주민들 스스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원도심의 아카데미극장은 활동가들의 애정으로 14년 만에 시민들과 함께할 몸짓을 준비하고 있으며, 대학에서는 리빙랩연구센터를 만들어 학생들이 지역의 현실에 관심을 갖고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아이디어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명사상과 협동조합의 도시로서 사회적경제 주체들 역시, 돌봄을 비롯한 지역사회 기여를 실천하고 있지요. 지역의 문화예술인들은 원주만의 문화역량과 자산을 통해 심신을 치유하는 독창적인 도시문화를 활발히 꾸미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시민들의 값진 참여로 이뤄가는 도시회복이고 도시재생입니다. 중앙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만을 위한 뉴딜사업이나 돌봄사업, 문화사업이 아닌 살기 좋은 원주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시민주도 도시재생의 소중한 발걸음들입니다. 이 같은 풀뿌리 주민참여의 모습들과 함께 어우러져야 하는 것이 도시공간에 거주하는 시민생활의 일상을 살피고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인 원주시정의 끊임없는 정책연구와 지원전략일 것입니다. 지방도시로서의 회복잠재력은 지역사회 개선에 대한 시민의 높은 관심과 참여 그리고 전체 공간구조에 대한 지자체의 높은 역량과 적극적인 자치행정이 조화롭게 엮어질 때만이 진정한 도시재생과 도시회복으로 이어져 시민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침체된 지역경제도 살아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글 신영식 지역문화콘텐츠협동조합 스토리한마당 이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