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 스토리


SE ISSUE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06-29
첨부파일 조회수 4,014

협동조합 1만개 돌파 

협동조합 수가 1만개를 넘어 섰다.

보도자료 기획재정부
반면 법인으로 등기됐지만, 사업을 운영하지 않는 협동조합도 4,447개에 달했다. 폐업한 협동조합이 1,453개, 사업을 중단한 협동조합은 2,994개였다. 법인으로 등기된 협동조합 중 실제로 사업을 운영하는 조합 비율은 53.4%다. 2년 전 조사(54.6%)보다 더 낮아진 수치다. 폐업 사유는 수익모델 미비(30.5%), 사업운영 자금 부족(24%), 조합원 간 의견 불일치(18.6%) 순으로 나타났다. 당기순익도 조합당 평균 373만원으로 2차 조사(1,935만원)보다 81% 급감했다. 당기순익이 발생하지 않는 협동조합 비율은 23.9%에서 43.5%로 두 배 가까이로 높아졌다. 당기순익이 줄어든 것은 협동조합의 사업 규모가 커지면서 자본조달 등에 들어가는 비용이 증가하고, 일반 기업처럼 재무적인 이익을 추구하기보단 소속 조합원의 이익을 중시해 매출 대비 교육비와 인건비 비중이 높은 영향 때문이라고 기재부는 분석했다.
협동조합당 평균 종사자수는 13.5명이고 임금을 목적으로 일하는 피고용인 수는 4.3명으로 조사됐다. 협동조합 내 정규직의 평균 급여는 147만원으로 2년 전(144만원)보다 증가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었다. 기재부는 “협동조합 근로자의 경우 주 평균 근무시간이 34.4시간으로 적고, 50대 이상 및 취약계층 근로자 비중이 높아 급여 수준이 낮다”고 설명했다.
협동조합의 전반적인 운영 실태는 기재부가 지난 2013년부터 2년 단위로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정부는 협동조합 같은 사회적 경제를 활성화시키면 일자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지난해 7월 발표한 100대 국정과제에도 ‘사회적 경제 활성화’가 포함돼 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에 이어 지난 1월에도 사회적 금융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보도자료 기획재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