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 레포트


사회적기업 성장지원센터(강원) 입주기업 - 1 프로젝트 집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3-30
첨부파일 프로젝트_집.jpg 조회수 1,852

공유 공간을 만드는 ‘프로젝트 집’

 

(주)프로젝트 집 
--------------------------------------------------------------------------
강원 원주시 상지대길 83, 상지대학교 벤처창업관 204호
T 033-742-0486      대표자 이윤승


Q [(주)프로젝트 집]을 소개해주세요. 

‘프로젝트 집’은 세 가지 의미에서 지어진 이름입니다. 세상 속 대부분의 일은 집에서부터 시작되고 여러 가지 사건과 사람들이 모이면서(集) 새로운 일들이 생겨납니다. 그러한 일들이 융합, 압축(ZIP)하여 생각지 못한 일들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프로젝트 집은 그러한 생각지 못한 일을 하나씩 실험하는 기업입니다. 

 

Q ​[팔레트]를 만든 계기와 다른 셰어하우스와 비교 하여 공통점, 차이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이 외 에도 [팔레트]의 운영 방식과 성과를 알고 싶습 니다. 

‘프로젝트 집’에서 가장 먼저 시작한 사업인 [셰어하우스 팔 레트]는 강원도에서도 새로운 주거실험을 하고 싶어서 시 작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셰어하우스 업체와 공통점이 있다면 거주자들이 거주하는 시스템이비슷할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수익률 극대화 및 빠른 확장을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저희가 운영하는 지점마다 차이가 있지만, 저희는 집주인, 거주자, 관리회사에게 모두 이로운 구조를 만들고자 거주자들의 입장에서 가장 최적의 위치를 고려하고 내부 시설도 낮은 질의 가구가 아닌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견고한 가구로 구성했습니다. 또한 집주인의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장하기 위해서 일정기간 이상의 계약만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팔레트]는 무조건적인 고객위주의 서비스가 아닌 서로 상호 존중할 수 있는 약속에 의해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현재 춘천 4개점, 원주 1개점이 운영되고 있으며 원주점은 추가적으로 확장할 계획이 잡혀있는 상태입니다. 

 

Q ​[미로주방]을 운영하게 된 계기와 성과를 알고 싶어요. 또 가장 신경 쓰셨던 부분도 궁금합니다. 
[미로주방]은 원주지역에서 선보이는 저희의 새로운 도전입니다. 셰어하우스 사업을 2014년에 개인적으로 시작을 하였지만, 처음부터 아주 특별하거나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다만 원주에 있는 기업 입장에서 조금은 상징적이면서 새로운 공간사업을 시도해보고 싶었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밥도 해먹고 함께 영화도 볼 수 있고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을 생각한 끝에 [미로주방]이 2020년 1월 오픈했습니다. 아쉽게도 코로나19 로 인해서 1월에 치룬 미식회 “미로미로(미로에서 맛을 찾다)” 이후로 행사를 열지 못하는 상황이라 아직까지 성과라고 말씀 드릴 수 있는 부분은 없습니다. 
가장 신경 쓴 부분은 아무래도 공간의 완성도라서 디자인에 가장 신경 썼습니다. 

구색만 갖춘 공간이 아닌 느낌이 살아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 번 쯤은 오고 싶은 생각이 들 것 같아서요. 물론 자기만족이 가장 커요. 앞으로는 미로시장 상인들과 재미있는 프로젝트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Q ​[인간문고]는 어떤 프로젝트인가요?

[인간문고]라는 공간이 있습니다. 태백의 유휴공간을 리모델링하여 만든 공간이고요. 강원도에서 제2의 인생을 사는 저의 사심을 담아서 만든 공간입니다. 자기 자신을 돌아보며 자발적으로 고립될 수 있는 공간이며 1일 여행자가 아닌 최소 7일 이상 사용하실 분들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 사람이 얼마나 되겠냐고 할 수 있지만 생각보다 많은 분이 이용합니다. [인간문고]에서는 공간서비스 외에도 콘텐츠 제작을 하고 있는데요. 사람의 이야기를 책으로 출판하거나 빵이나 꽃차 등 다른 방식의 콘텐츠로 생산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콘텐츠를 통해 그 사람이 자립할 수 있도록 문화행사를 기획합니다.

 

Q ​‘집’을 운영하며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이유는요
올 한해는 어떻게 하면 재미있고 의미 있는 일을 할까 고민 중입니다. 스스로에게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 일이 아닐 경우 꾸준히 할 수 없다고 판단하기에 이 부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함께 일하는 직원들에게도 항상 본인이 재미있어하고 의미 있는 일에 포커스를 맞추라고 이야기하는 편입니다. 이 발언이 꼰대발언이 아니었길 바라봅니다. 

Q ​상지대 성장지원센터(강원)에서 지원하게 된 이유와 바라는 점이 있으시다면요?

솔직한 마음으로는 사무실이 필요했습니다. 작은 기업입장에서는 임대료와 관리비도 만만치 않은 부담입니다. 그런 마음으로 지원하긴 했지만 현재는 다른 이유로 만족하고 있습니다. 함께 성장지원센터에 입주하고 있는 기업들과 재미있는 프로젝트도 계획하고 실행하고 있습니다. 함께 성장하는 기회가 생기는 것 같아서 아주 좋습니다. 앞으로도 새로운 협업 프로젝트를 시장에 실험해볼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이어졌으면 합니다.

 

Q ​끝으로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자유롭게 부탁드려요.

그동안 강원도의 여러 지역의 특성에 맞는 공간사업을 했다면 올해는 원주지역에서 도시재생관련 공간기획과 관광분야의 새로운 실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2019년도 철원군 도시재생과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 2개 기관의 연구용역을 실행하였는데,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주민참여프로젝트, 공간사업 컨설팅 연구 용역이었습니다. 해당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는 원주시에서 더 재미있고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글·정리 이지은

도움주신 분 이윤승 프로젝트 집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