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풍경


무위당 23주기 기념 학술토론회 - 광장과 촛불 이후 생명운동의 과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7-09-26
첨부파일 [포맷변환]20170926_135313.jpg 조회수 3,674

 


2017 무위당 23주기 기념 학술토론회는 광장과 촛불 이후 생명운동의 과제를 대 주제로 원주시 봉산동 역사박물관 강당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주요섭 ()한살림연구소 사무처장이 촛불과 생명운동의 과제-한사람 되기와 무위의 집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이무열 살림 이사장이 광장에서 일상으로, 공동체적 열망과 삶의 자립과 자치를 주제로 각각 발제에 나섰다. 토론에는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과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사무처장, 윤호창 은평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사무국장이 참여했다.

 



촛불의 함성은 인간답게 살고싶다는 열망의 표현 


주요섭 한살림연수원 사무처장


주요섭 사무처장은
나에게 2016년과 2017년 촛불 혁명은, 이를 테면 자각인민의 자기완성이었다. 사회학자 송호근은 시민의 탄생에서 120여 년 전 동학혁명을 자신의 하늘을 품은 자각인민의 출현이라고 말한다. ‘사람이 하늘이다’, 동학혁명은 조선판 인권선언이었다. 임금과 양반만이 아니라 99% 백성들 모두가 하늘을 모신 존재, 시천주(侍天主)의 인간임을 온몸으로 선언했다. 120년 전 동학이 우리도 인간이 되고 싶다는 절규였다면, 오늘 촛불의 함성은 인간답게 살고 싶다는 열망의 표현이었다. 그것은 인정투쟁’ 120년의 종착점이기도 하거니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인간다움을 땅 위에서 이루어내는 천부인권 실현투쟁의 한 정점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나에게 2016년과 2017년 촛불혁명은 무엇보다 촛불이었다. 나에게 촛불은 횃불이 아니라 촛불이었다. ‘를 향한 분노의 불꽃이 아니라 를 향한 성찰의 빛이었다. 지난한 인정 투쟁의 시대를 지나 19876월 항쟁과 정치적 민주화 이후 더 이상 횃불을 들 필요는 없게 되었다. 목숨을 걸 필요도 없고 무엇인가를 불지를 이유도 거의 없어졌다. 촛불은 우연이 아니었. 횃불에도 역사가 있듯이 촛불에도 역사가 있다. 미선이 효순이 촛불과 월드컵 촛불과 광우병 촛불, 그리고 탄핵 촛불로 이어지는 촛불 진화의 역사가 있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일까? 다시, 나에게 촛불은 혼자촛불이었다. 춘천과 파주와 대전에서 스스로, 자발적으로, 즐겁게 제 발로 온 혼자촛불이었다. 골방에서 광장으로 나온 혼자촛불이다. 동학혁명이 집합횃불이었다면 촛불혁명은 혼자촛불이었다. ‘동원이 아니었다. 둘이 오고, 가족 단위로 오고, 동창회로 오고, 지역으로 왔다 하더라도 거기에 참여한 한 사람 한 사람이 마음을 내지 않았다면 광장촛불에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다. 혼자는 아니지만, ‘혼자의 정신으로 함께한 자각적(自覺的) 촛불들이었다. 비정규직과 동성애자, 장수풍뎅이연구회와 범야옹연합이 함께하는 약자와 소수자들의 따로 또 같이혼자촛불이었다. 자기성찰의 골방촛불과 사회적 성찰의 광장촛불이 공존하는 역설적 하나 됨이었다. 소설 혼불을 떠올리게 하는 생명의 촛불이었다. 나에게 2016, 2017년 촛불은 자각인민의 자기완성이자, ‘자신의 하늘’, ‘자신의 나라를 품은 한사람의 출현이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주 처장은 이와 함께 광화문은 텅 비어 무궁한 가능성의 장이라며 이를 무위(無爲)의 집이라고 표현했다. 이는 곧 마음의 집이기도 하다고 강조한다.

마음을 어쩌고저쩌고 하자는 것도 아니고 인테리어도 번쩍번쩍한 힐링 센터를 하자는 것도 아니다라며 허름하고 낮고 좁아도 좋고, 집이 없어도 좋고, 어느 골목길이나 공원의 공터여도 좋다고 말했다. “광장과 골방사이, 새 문명의 예언적 미래(포스트 휴먼)’를 꿈꾸고, 이것저것 가진 것 없는 이들이 모이고 흩어지고, 마을과 지역의 상징이 되는 사회적 성소(聖所)’를 꿈꾼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규범과 도덕의 성소가 아니라, 무로 돌아가기 연습을 통해 자유와 창조의 생명에너지가 자가 발전하는 발전소가 되기를 기대한다.”자기성찰과 사회적 성찰, 자기 재창조와 사회적 재창조의 상징이자 촉매가 되는 역할을 바란다.”고 했다.

“‘민중의 집도 나쁘지 않지만 이번엔 무위의 집이 어떨까?”라며 무위의 집에서 촛불을 켜는 것은 어떨까라고 제안했다.

 


청년은 구 시대를 탈출할 수 있는 지도(地圖)


이무열 살림 이사장

이무열 이사장은 늘 저항운동의 상징이었던 광장이 변했다며 촛불 이전의 광장이 집단적이고 하향식이며 고정적이고 비 유희적이며 폭력과 제한이 있었다면 촛불광장은 대중적이고 상향식이며 유기적이고 유희적이고 비폭력과 다양성이 존재하는 곳으로 변했다. 특히 이성에서 감성으로, 설득에서 공감으로, 계획에서 실천으로, 선형에서 비선형으로, 폐쇄에서 개방으로, 거시에서 미시로, 단일에서 다양으로, 집중에서 분산으로 과거의 광장과 촛불광장의 가치가 전환됐다고 주장했다.

이 이사장은 이제는 정보의 비대칭과 수직적 정보구조를 전제로 하는 설득이 아니라 감성이 앞서는 수평적 공감으로 변했다. 또 결과론적인 선형사고가 아닌 과정의 계획된 우연을 찾는 비선형의 과정, 끊임없이 다양하게 시도되는 실천을 중요시한다. 그리고 개방된 사고와 관계는 네트워크 시대의 특징을 담고 모두의 참여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나의 광장은 일상이다. 나의 일상의 공동체를 이루기 위해서는 촛불광장이 개개인의 광장으로 이어지는 네트워크 광장, 지역과 일이 종횡으로 이어지는 커뮤니티 광장이 필요하다. 이 시작과 중심의 나를 움직이는 것은 욕망이다. 이 부분에서 펠릭스 가타리(Felix Guattari)특이성을 생산하는 욕망은 혁명적 대안(열망)을 설명하고 있다. 욕망은 생활이라는 미시정치이며 자율성을 갖는 야성성이다. 더욱이 틀과 구조에 사로잡힌 일상이 아닌 늘 새로운 여행을 떠나는 것과 같은 모험과 도전, 창조의 삶이 욕망을 통해서 가능하다. 인류발전과 진화를 이끌어 온 과학